icon

커뮤니티

분석

2025 상반기 홈쇼핑 시장 분석

운영자
2025.07.07 12:13조회 413

 

 

 

 

 

 

 

 

 

 

라방바 데이터랩 뉴스레터

2025년 상반기 홈쇼핑 시장 분석 리포트

 

주요 지표 요약

2025년 6월 홈쇼핑 시장 현황

  • 총 매출액: 14,236억원 (전월 대비 -5.1%)
  • 총 방송수: 39,458건 (전월 대비 -1.8%)
  • 방송당 평균 매출: 3,608만원 (전월 대비 -3.4%)

 

1. 2025년 6월 홈쇼핑 시장 리뷰

 

6월 시장 주요 특징

 

계절적 조정기 진입 2025년 6월 홈쇼핑 시장은 전월 대비 매출 5.1% 감소하며 여름 성수기 전 조정기에 접어들었습니다. 하지만 여전히 월 1조 4천억원 규모의 안정적인 시장을 유지하고 있어, 시장의 기초 체력이 견고함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효율성 최적화 방송수는 1.8% 감소에 그쳤지만, 방송당 평균 매출은 3,608만원으로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며 질적 성장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는 홈쇼핑 업계가 무분별한 방송 확대보다는 방송 효율성 극대화에 집중하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6월 매출 TOP 5 카테고리

  1. 여성의류: 1,820억원 (5,339회 방송)
  2. 건강식품: 1,552억원 (5,115회 방송)
  3. 국내여행/체험: 1,375억원 (278회 방송, 방송당 4.9억원)
  4. 생활편의: 815억원 (648회 방송)
  5. 스킨케어: 646억원 (1,806회 방송)

 

 

2. 2025년 상반기 홈쇼핑 시장 분석

 

상반기 시장 성과

8조 7천억원 규모 달성 2025년 상반기 홈쇼핑 시장은 총 8조 7,180억원 규모로 성장했습니다. 월평균 1조 4,530억원의 안정적인 매출을 기록하며, 홈쇼핑 시장의 지속적인 성장세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안정적 성장 궤도 1월 최고 매출 이후 2-4월 소폭 조정을 거쳐 5월 다시 반등하며 안정적인 성장 궤도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이는 시장의 성숙도가 높아지면서 계절적 변동성을 흡수할 수 있는 탄력성을 갖추었음을 의미합니다.

 

상반기 전체 현황

  • 총 매출액: 87,180억원
  • 월평균 매출: 14,530억원
  • 상반기 총 방송수: 239,615건
  • 상반기 방송당 평균 매출: 3,640만원

 

분기별 성과 비교

1분기 vs 2분기 분석

  • 1분기: 43,886억원 (방송당 평균 3,685만원)
  • 2분기: 43,295억원 (방송당 평균 3,600만원)

분기별 매출 규모는 유사하지만, 방송당 평균 매출이 2분기에 소폭 감소한 것은 여름철 진입에 따른 계절적 조정으로 해석됩니다.

 

 

3. 연속성장 카테고리 분석

 

성장 동력의 다양화

13개 카테고리 3개월 이상 연속 성장 선케어, 계절가전, 침구류 등 13개 카테고리에서 3개월 이상 연속 성장을 보이며 시장의 다각화와 성숙도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는 특정 카테고리에 의존하지 않는 균형 잡힌 성장 구조를 구축했음을 의미합니다.

계절성과 라이프스타일 변화 선케어(272% 성장), 계절가전(121% 성장) 등 계절적 요인과 건강 관리 트렌드가 결합된 성장 패턴을 보입니다. 이는 홈쇼핑 업계가 시장 트렌드에 민감하게 대응하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3개월 이상 연속 성장 카테고리

순위카테고리연속성장기간평균성장률상반기 매출1선케어3개월+272.0%272억원2의료용품4개월+185.1%13억원3계절가전5개월+121.5%1,063억원4침구단품5개월+45.8%749억원5침구세트3개월+45.1%1,281억원6남성의류3개월+26.1%3,101억원7여성언더웨어/잠옷5개월+19.0%2,448억원

 

주목할 성장 트렌드

계절성 카테고리의 폭발적 성장 선케어와 계절가전이 각각 272%, 121%의 놀라운 성장률을 보이며 계절적 수요 변화에 홈쇼핑이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리빙 카테고리의 안정적 성장 침구단품(5개월 연속), 침구세트(3개월 연속) 등 홈 리빙 카테고리가 지속적으로 성장하며 집에서 보내는 시간 증가 트렌드를 반영합니다.

패션 카테고리의 재부상 남성의류와 여성언더웨어/잠옷이 각각 26.1%, 19.0%의 성장률로 패션 카테고리의 홈쇼핑 적응력을 입증했습니다.

 

 

4. 홈쇼핑 재성장 동력 분석

 

4대 성장 동력

1. 디지털 전환 가속화 모바일 퍼스트 전략과 AI 큐레이션으로 고객 경험이 혁신되며 새로운 고객층 유입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디지털 네이티브 세대의 홈쇼핑 진입이 시장 확장의 주요 동력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2. 타겟팅 정교화 빅데이터 분석 기반으로 고객 세분화가 정교해지면서 방송당 평균 매출이 3,600만원 수준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고 있습니다. 개인화된 상품 추천과 맞춤형 콘텐츠 제공이 전환율 향상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3. 계절성 최적화 기후 변화와 계절적 요인을 선제적으로 활용한 상품 기획으로 선케어, 계절가전 등에서 폭발적 성장을 달성했습니다. 계절별 수요 예측 정확도가 크게 향상되었습니다.

4. 라이프스타일 변화 대응 재택근무 확산, 홈 케어 트렌드 등 라이프스타일 변화에 발빠르게 대응하며 침구류, 생활용품 등에서 지속 성장을 견인하고 있습니다.

 

홈쇼핑 재성장의 핵심 요인

질적 성장으로의 전환 무분별한 방송 확대보다는 방송당 효율성 극대화에 집중하며 건강한 성장 구조를 구축했습니다. 상반기 방송당 평균 매출이 3,640만원으로 안정적인 수준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다양화된 성장 동력 13개 카테고리가 3개월 이상 연속 성장을 보이며 특정 카테고리에 의존하지 않는 균형 잡힌 성장 포트폴리오를 구축했습니다.

시장 성숙도 향상 계절성, 트렌드 변화, 고객 니즈 등에 대한 민감도가 높아지면서 시장 예측력과 대응력이 크게 개선되었습니다.

 

월별 방송 효율성 추이

월방송당 평균 매출2025.013,674만원2025.023,903만원2025.033,479만원2025.043,458만원2025.053,734만원2025.063,608만원

방송당 평균 매출이 3,400만원~3,900만원 범위에서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있어, 홈쇼핑 업계의 운영 효율성이 크게 개선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5. 전략적 시사점

 

지속가능한 성장 모델

홈쇼핑은 더 이상 단순한 판매 채널이 아닌 데이터 기반 고객 경험 플랫폼으로 진화하고 있습니다. 방송 효율성 개선이 핵심 경쟁력이 되었으며, 이는 업계 전체의 경쟁력 강화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카테고리 다변화 전략

13개 카테고리의 연속 성장은 시장의 다각화 성공을 보여줍니다. 특정 카테고리 의존도를 낮추고 균형 잡힌 포트폴리오 구축이 리스크 분산과 안정적 성장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민첩한 트렌드 대응

계절성과 라이프스타일 변화에 대한 빠른 대응력이 성장의 핵심입니다. 선케어, 계절가전 등의 폭발적 성장이 이를 증명하며, 시장 변화에 대한 민감도가 경쟁 우위의 원천이 되고 있습니다.

 

혁신적 고객 경험

국내여행/체험 카테고리의 방송당 4.9억원 매출은 홈쇼핑의 새로운 가능성을 보여줍니다. 전통적인 물품 판매를 넘어 경험 상품 영역으로의 확장이 새로운 성장 동력이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결론: 홈쇼핑 르네상스의 시작

 

새로운 성장 사이클 진입

2025년 상반기 홈쇼핑 시장은 8조 7천억원 규모로 성장하며 새로운 성장 사이클에 진입했습니다. 단순한 양적 성장을 넘어 질적 성장으로 전환하며 지속가능한 성장 기반을 구축했습니다.

 

업계 생태계 고도화

다양한 카테고리에서의 연속 성장, 방송 효율성 개선, 고객 경험 혁신 등이 결합되어 홈쇼핑 업계 전체의 생태계가 한 단계 더 고도화되었습니다. 이는 홈쇼핑이 단순한 판매 채널에서 종합적인 라이프스타일 플랫폼으로 진화하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미래 성장 동력 확보

디지털 전환, 데이터 활용, 고객 세분화 등의 역량 강화로 미래 성장을 위한 견고한 기반을 마련했습니다. 특히 13개 카테고리의 연속 성장은 시장의 다각화와 안정성을 보여주며, 향후 지속적인 성장 가능성을 시사합니다.

 

댓글 0
    목록
    조건에 맞는 게시글이 없습니다.
    • 최근 3개월
    • 최근 6개월
    • 최근 1년
    • 전체
    • 제목
    • 제목+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