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con

커뮤니티

분석

2025 상반기 라방 시장 리포트

운영자
2025.07.02 10:24조회 508

데이터 안내: 본 데이터는 라방바 데이터랩의 매출 추정 데이터로 시장규모는 커버리지와 방송전/후 매출을 산정하기 때문에 시장규모와는 다릅니다.

 

 

 

 

 

 

 

 

 

라방바 데이터랩 뉴스레터

 

2025년 상반기 라이브커머스 시장 총결산

 

📊 핵심 성과 요약

2025년 상반기 라이브커머스 시장 주요 지표

  • 총 매출액: 8,962억원 (+29.7% YoY)
  • 총 방송수: 88,746건 (질적 성장 전환)
  • 방송당 평균매출: 1,010만원 (+60% 효율 개선)

 

📈 2025년 상반기 시장 개요

 

💡 '양에서 질로' 전환한 시장 성숙기

매출액 역대 최고치: 2025년 상반기 라이브커머스 시장은 8,962억원의 매출을 기록하며 전년 상반기 대비 29.7% 성장했습니다. 이는 2024년 하반기 대비 48.1%의 급성장으로, 시장의 완전한 회복과 새로운 도약을 의미합니다.

효율성 극대화: 방송 수는 19% 감소했음에도 불구하고 매출은 큰 폭으로 증가하여, 방송당 평균 매출이 1,010만원으로 전년 대비 60% 이상 향상되었습니다. 이는 '양보다 질' 중심의 시장 구조 개편을 보여줍니다.

기간별 비교 분석

 

📈 월별 성장 트렌드 분석

 

2024년 1월 ~ 2025년 6월 월별 매출액 추이

2024년 추이:

  • 1월: 1,200억원 → 12월: 1,280억원
  • 연중 변동폭: 920억원(9월) ~ 1,450억원(11월)
  • 특징: 하반기 성장세, 11월 연중 최고치

2025년 상반기:

  • 1월: 1,776억원 (최고치)
  • 2-4월: 1,300-1,400억원대 유지
  • 5월: 1,576억원 (가정의 달 회복)
  • 6월: 1,317억원

 

🎯 시즌별 매출 패턴 분석

  • 1월 신년 특수: 연초 신제품 출시와 리뉴얼 이벤트로 인해 1월 매출이 상반기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신년 결심과 관련된 건강/피트니스 제품 판매가 특히 활발했습니다.
  • 5월 가정의 달 회복: 2-4월 소폭 감소 후 5월에 16.1% 반등하며 가정의 날 특수 효과를 확인했습니다. 선물용 고가 제품의 판매가 크게 증가했습니다.
  • 안정적 성장률: 월별 전년 동월 대비 성장률이 20-30%대를 꾸준히 유지하며, 2024년 상반기 대비 변동성이 크게 줄어든 안정적 성장을 보였습니다.

 

🏆 주요 카테고리별 성과 분석

 

고가 상품 카테고리의 급성장

2025년 상반기에는 고객 단가가 높은 카테고리들이 시장 성장을 견인했습니다. 디지털/가전 부문이 압도적 1위를 유지하며 전체 매출의 상당 부분을 차지했습니다.

 

🔥 카테고리별 핵심 인사이트

  • 디지털/가전의 독주: AI 기술이 적용된 스마트 가전제품과 생활가전이 폭발적 성장을 보였습니다. 특히 방송당 평균 매출이 2,500만원을 넘어서며 고효율 카테고리로 자리잡았습니다.
  • 여행 수요 완전 회복: 코로나19 이후 억눌렸던 여행 수요가 완전히 회복되면서 항공권, 여행용품, 레저 관련 제품의 매출이 급증했습니다.
  • 프리미엄화 트렌드: 모든 카테고리에서 객단가가 상승하며 프리미엄 제품 선호 현상이 뚜렷하게 나타났습니다.

 

🔄 시장 구조의 질적 변화

 

⚡ 효율성 중심의 시장 재편

2025년 상반기 라이브커머스 시장은 근본적인 구조 변화를 경험했습니다. 과거 '많은 방송'에서 '효율적인 방송'으로의 패러다임 전환이 완료되면서, 시장 참여자들의 전략도 크게 달라졌습니다.

 

주요 변화 영역

📊 데이터 기반 운영

  • 실시간 시청자 반응 분석
  • 구매 패턴 기반 상품 선정
  • 최적 방송 시간대 도출

🎭 콘텐츠 전문화

  • 전문 진행자 육성
  • 고품질 영상 제작
  • 브랜드 스토리텔링 강화

🤝 브랜드 파트너십

  • 주요 브랜드 독점 협력
  • 신제품 런칭 플랫폼화
  • 장기 계약 관계 구축

 

🎯 2025년 하반기 전망 및 전략

 

🚀 하반기 성장 전망

상반기 성과를 바탕으로 하반기에는 더욱 견고한 성장이 예상됩니다. 특히 연말 쇼핑 시즌과 AI 기술 고도화로 인한 개인화 서비스 강화가 주요 성장 동력이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4대 핵심 전략 방향

🤖 AI 개인화 강화

  • 시청자 맞춤형 상품 추천
  • 실시간 구매 패턴 분석
  • 개인화된 할인 혜택 제공

🎪 대형 이벤트 집중

  • 블랙프라이데이, 연말 특가
  • 브랜드 협업 확대
  • 독점 상품 런칭

🌟 프리미엄 시장 확대

  • 명품, 고가 가전 진출
  • VIP 고객 대상 서비스
  • 한정판 상품 기획

💰 정부 지원 정책

  • 추경예산 편성 효과
  • 소상공인 지원사업 확대
  • 소비 진작 정책 연계

 

📊 하반기 핵심 KPI 전망

  • 매출 목표: 하반기 1조원 돌파 전망. 연말 쇼핑 시즌 효과로 월 2,000억원 이상 달성 예상
  • 효율성 개선: 방송당 평균 매출 1,200만원 달성 목표. AI 활용 개인화로 구매 전환율 15% 향상
  • 정부 정책 효과: 추경예산 편성으로 인한 소비 진작 정책이 라이브커머스 시장에 긍정적 영향 예상. 특히 소상공인 라이브커머스 지원사업 확대로 신규 참여자 증가
  • 시장 확대: 신규 고객 유입 30% 증가. 기존 고객 재구매율 40% 이상 유지
댓글 0
    목록
    조건에 맞는 게시글이 없습니다.
    • 최근 3개월
    • 최근 6개월
    • 최근 1년
    • 전체
    • 제목
    • 제목+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