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con

커뮤니티

분석

25년 9월 라방 시장 분석 : 추석 시즌 최대 규모 매출

운영자
2025.10.20 09:48조회 29

 

 

 

 

 

 

 

 

 

 

라방바 데이터랩 뉴스레터

2025년 9월 시장 분석 리포트

 

9월 주요 지표

  • 전체 매출: 1,584억원 (+77.9% YoY)
  • 총 방송수: 15,201건 (+1.8% YoY)
  • 방송당 평균매출: 1,042만원 (+74.6% YoY)
     

1. 월별 시장규모 추이 분석


9월 성장 동력

추석 특수 명절 선물 수요와 귀성 준비 쇼핑이 겹치며 추석 시즌 최대 규모를 기록했습니다. 전월 대비 34.0% 성장하며 비수기 침체를 탈피했습니다.

질적 전환 방송수는 1.8% 증가했지만 매출은 77.9% 급증했습니다. 방송당 효율이 74.6% 향상되며 시장이 양적 확대에서 질적 고도화로 전환했습니다.


월별 매출 추이

  • 2024년 10월: 1,089억원
  • 2024년 11월: 1,181억원
  • 2024년 12월: 1,038억원
  • 2025년 01월: 1,778억원
  • 2025년 02월: 1,468억원
  • 2025년 03월: 1,472억원
  • 2025년 04월: 1,359억원
  • 2025년 05월: 1,577억원
  • 2025년 06월: 1,319억원
  • 2025년 07월: 1,278억원
  • 2025년 08월: 1,183억원
  • 2025년 09월: 1,584억원


시장규모 변화 핵심 포인트

  • 여름 비수기 탈출: 7~8월 침체기(1,278억원 → 1,183억원)를 딛고 9월 1,584억원으로 회복
  • 전월 대비 +34.0%: 2025년 최대 성장폭을 기록하며 추석 특수 확인
  • 연초 대비 안정화: 1월 설 특수(1,778억원) 이후 1,300~1,600억원 수준에서 안정적 성장세 유지

 


2. 2024년 9월 vs 2025년 9월 비교


양에서 질로의 전환

방송수는 1.8% 증가에 그쳤지만 매출은 77.9% 증가했습니다. 라이브커머스가 양적 팽창을 넘어 질적 고도화 단계로 진입했습니다.


주요 지표 비교


2024년 9월

  • 전체 매출: 891억원
  • 방송수: 14,925건
  • 방송당 매출: 597만원


2025년 9월

  • 전체 매출: 1,584억원 (+77.9%)
  • 방송수: 15,201건 (+1.8%)
  • 방송당 매출: 1,042만원 (+74.6%)


성장 요인

추석 대목 활용 명절 선물세트, 식품, 생활용품 등 추석 특수 상품군이 시장을 견인했습니다.

개인화 고도화 AI 추천과 타겟팅 정교화로 방송당 전환율이 개선되었습니다.

선택과 집중 저효율 방송을 줄이고 검증된 고효율 콘텐츠에 집중하는 전략이 확산되었습니다.

 


3. 카테고리별 성장률 분석


전 카테고리 플러스 성장

모든 카테고리가 YoY 플러스 성장을 기록했습니다. 라이프스타일 관련 카테고리들이 3배 이상 급성장하며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부상했습니다.


카테고리별 YoY 성장률 TOP 10

  1. 스포츠/레저: +315.1% (20억원 → 81억원)
  2. 생활/건강: +237.3% (152억원 → 512억원)
  3. 여가/생활편의: +232.4% (38억원 → 125억원)
  4. 디지털/가전: +178.0% (272억원 → 756억원)
  5. 패션잡화: +153.0% (89억원 → 224억원)
  6. 가구/인테리어: +122.7% (97억원 → 215억원)
  7. 화장품/미용: +100.0% (135억원 → 270억원)
  8. 출산/육아: +77.6% (105억원 → 186억원)
  9. 패션의류: +64.4% (113억원 → 186억원)
  10. 식품: +55.6% (209억원 → 325억원)


카테고리별 인사이트

스포츠/레저 315% 성장 골프, 캠핑, 아웃도어 등 여가 활동 트렌드와 명절 선물 수요가 맞물렸습니다. 방송당 평균 1,106만원으로 높은 효율을 입증했습니다.

생활/건강 237% 증가 건강기능식품, 마사지기기, 공기청정기 등 웰니스 카테고리가 512억원을 돌파하며 제2의 핵심 카테고리로 부상했습니다.

여가/생활편의 232% 증가 소형 가전, 생활용품 등이 추석 선물 수요와 맞물렸습니다. 방송당 평균 5,391만원으로 최고 효율을 기록했습니다.

디지털/가전 178% 성장 756억원으로 여전히 1위 카테고리를 유지하며 라이브커머스의 핵심 동력임을 확인했습니다.

 

9월 카테고리별 매출 순위

  1. 디지털/가전: 756억원
  2. 생활/건강: 512억원
  3. 식품: 325억원
  4. 화장품/미용: 270억원
  5. 패션잡화: 224억원
  6. 가구/인테리어: 215억원
  7. 출산/육아: 186억원
  8. 패션의류: 186억원
  9. 여가/생활편의: 125억원
  10. 스포츠/레저: 81억원


 

4. 10월 전략 방향
 

10월 시장 전망

추석 이후 안정화 명절 특수가 끝난 10월은 일시적 매출 조정이 예상되지만, 방송당 효율은 높은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라이프스타일 카테고리 주목 스포츠/레저, 생활/건강 등 신흥 고성장 카테고리는 추석 이후에도 성장이 예상됩니다.

연말 대목 준비 11~12월 연말 시즌을 대비한 선물용 상품, 겨울 아이템 콘텐츠 기획을 10월부터 시작해야 합니다.


액션 포인트

1. 효율 중심 운영 방송수보다 방송당 매출을 극대화하는 전략에 집중하세요. 검증된 크리에이터와 고전환 상품에 리소스를 집중 투입하세요.

2. 라이프스타일 카테고리 확대 스포츠/레저, 생활/건강 등 고성장 카테고리의 콘텐츠 비중을 늘리고 전문 크리에이터를 발굴하세요.

3. 연말 시즌 기획 11월 블랙프라이데이, 12월 연말 대목을 대비한 콘텐츠 기획과 상품 소싱을 10월부터 시작하세요.

4.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 9월 카테고리별 성장률과 방송당 효율 데이터를 바탕으로 10월 방송 편성과 상품 구성을 최적화하세요.

댓글 0
    목록
    조건에 맞는 게시글이 없습니다.
    • 최근 3개월
    • 최근 6개월
    • 최근 1년
    • 전체
    • 제목
    • 제목+내용